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간단한 주식 용어들 주당순이익(EPS) 주당순이익이란 당기 순이익을 가중평균주식스로 나눈 수치입니다. 그러므로 당기순이익이 아무리 많은 회사라도 발행주식수가 많으면 그만큼 EPS는 낮아집니다. 주식가격은 원칙적으로 이 주당 순이익에 의해 결정됩니다. 즉 회사가 이익을 많이 낼수록 주가는 올라가는 것이 당연한 일입니다. 반대로 이익이 즐어들거나 적자로 전환되면 주가는 떨어집니다. 바이오 관련주들이 급등했던것도 향후에 기업의 이익이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된 것입니다. 그러나 이때도 실제 기대대로 이익이 증가하지 않으면 주가는 급락하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EPS는 주식투자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투자지표의 하나입니다. .주가 수익 비율 주가수익비율(PER)은 해당 기업의 현재 주가를 연간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으로 비.. 더보기 성공한 트레이더의 열가지 원칙 1. 3의 원칙'을 따르라 기술적 분석가들이 트레이딩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하는 지표는여러 가지가 있다. 차트에 나타나는 캔들의 패턴, 주가 이동평균선, 그리고 다양한 모멘텀과 과매수 · 과매도 지표들이다. 이런 지표들을 모두 합치면 지나온 주가의 흐름에서 현재 주가가 어느 위치에 있느냐를한눈에 볼 수 있다. '3의 원칙'은 기술적 지표들을 보고 트레이딩을 해야 하는 이유 세 가지를 정확히 설명 못하면 절대 매매하지 말라는 원칙이다. 최소 세 가지이며 이유를 많이 댈수록 좋다.때로 젊은 트레이더들은 한 가지 이유만 있어도 매매를 감행한다.하지만 이중바닥이나 과매수 스토캐스틱 등 다른 지표들이 상응한 움직임을 보이며 일정한 흐름을 확증해야 한다. 지표들이 서로 충돌할때는 시장이 혼란스럽다는 의미다. 그렇.. 더보기 이동 평균선의 개념과 특징 개념 어렸을 때 일본으로 건너가 결국 일본 바둑을 제패한 조치훈 명인은 '목숨을 걸고 둔다' 는 좌우명으로 유명하다. 제한시간 8시간을 모두 써가며 한 수 한 수에 혼을 불어넣으면서 바둑을 두는 그의 모습은 많은 사람에게 큰 감동을 줬다. 그런데 조 명인의 이런 태도에 필적할 만한 투자철학을 가진 투자가가 있다. 1983년 일본 역사상 처음으로 주식투자로 소득세 납부 1위에 오른 전설적인 투자가 고레가와 긴조가 그 주인공이다. 그는 1931년 주식투자에 입문하기 전까지 도서관 에서 3년 동안 필사적으로 경제공부를 했다. 그리고 자신의 투자 성공비결을 이렇게 설명했다. “목숨을 건 진검승부 자세로 매매한다. 지칠줄 모르는 철저한 연구와 열의가 탁월한 예측과 결단의 원천이 된다.”어느 날 갑자기 친구가 '이.. 더보기 지지와 저항선 1만 달러로 3억 달러를 번 월스트리트의 증권왕 제럴드 로브의 투자기법은 우리나라에서도 큰 성공을 거둘 수 있는 매력적인 투자법이다.그는 주가움직임이 활발한 대형블루칩 중에서 저항선을 돌파하는 주식을 매입하였다. 이후 주가가 예측과 반대로 움직이면 즉시 매도하였고, 예측대로 움직일 때에만 계속 보유하였다. 그는 잘 아는 소수 종목만을 집중적으로 연구했으며, 현금보유기간이 주식보유기간보다 길도록 하였다. 또한 투자 원금 대비 100% 수익을 올리면 즉시 이익금을따로 떼내어 위험을 분산시키는 방법으로 큰돈을 벌었다. 제럴드 로브는 저항선을 오랫동안 돌파하지 못하던 주식이 저항선을 강력히 돌파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매수포인트로 삼았다. 아울러 자기가 설정한 지지선을 주가가 하향 이탈하면 필사적인 매도로 대응하.. 더보기 이격도를 매매에 적용해본다면... 이격도(Disparity)란 시세와 이동평균선 간의 간격을 말하는 것이다. 즉 괴리율을 말한다. 그날의 시세나 지수를 이동평균치로 나눈 비율, 단기적인 투자 시점을 잡기 위한 지표로 이동평균선의 결점을 보완한다. 그랜빌 법칙은 도형을 보고 매매 신호를 판단하지만 이격도는 간격으로 매매 신호를 판단한다는 것이 다르다. 보통 외환 시세에는 21일 이격도를 많이 사용한다.'이격이 커진다' 라는 것은 시세와이동평균선 간의 간격이 넓어짐을말하며, 이격이 작아진다' 라는 것 은 시세와 이동평균선의 간격이 좁아짐을 말한다. 이격도 = 종가(N일 종가 이동평균선) × 100 이격도가 100 이상이라는 것은 시세가 이동평균선 위에 있다는 것이고, 100 이하라는 것은 시세가 이동평균 선 아래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이격도.. 더보기 RSI란 무엇인가? RSI (Relative Strength Index) : 상대강도지수 1 개요. RSI는 현재 추세의 강도를 백분율로 나타내어 언제 주가 추세가 전환될 것인가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이다. RSI는 시장가격 변동폭 중에서 시장가격의 상승폭이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하는 것으로 주가가 상승추세일 경우 얼마나 강한 상승세인지, 하락추세라면 얼마나 강한 하락세인지를 퍼센트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한마디로 추세의 강도를 객관적 수치로 표현하는 분석방법으로 웰레스 윌더(Welles Wilder)에 의해 개발되었다.월더(Wilder)는 RSI를 사용할 때는 기본적으로 14일 RSI를 사용하라고 말한다. 그리고 9일, 25일 RSI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치다. 그는 RSI는 기간을 짧게 사용할수록 민감하게 움직이고 기간.. 더보기 스토캐스틱이란? 스토캐스틱(Stochastics) 1 개요. | 조지 레인(George Lane)이 개발했으며, 주어진 기간 중에 움직인 가격범위에서 당일의 종가가 상대적으로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이다. 즉 가격의 최근 변동폭과 종가와의 관계를 구하려는 지표이다. 가격이 계속 상승한다면 지표값의 상한선인 100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고, 가격이 계속 하락한다면 지표값의 하한선인 0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다. 상승추세에서는 당일종가가 최근기간 중 가격 변동폭의 최고가에 근접해 있고, 반대로 하락추세에서는 당일종가가 최근기간 중 가격 변동폭의 최저가에 근접해 있다는 간단한 논리에서 출발한다. 스토케스틱은 최근 일의 변동폭에 대한 현재의 시장위치를 나타낸 것이 된다. 이 지표는 추세가 없는 시장에서 잘 적용되.. 더보기 코로나 바이러스 발생 기간중에 휴대폰 관리와 방법 최근 COVID-19의 발생과 함께, 손 씻기, 아플 때 집에 있기, 그리고 흔히 접촉하는 표면을 청소하는 것과 같은 예방 조치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한가지 형태의 표면이 있는데 바로 터치 스크린과 휴대 전화기의 케이스이다.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은 종종 우리의 개인적인 공간으로 가져올 수 있는 미생물의 원천으로 간과되고 있습니다,"라고 미주리 과학 기술 대학의 생물학과 부교수인 DavidWestenberg박사는 말했다. 사실, 많은 연구들이 우리의 휴대폰이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를 포함한 미생물의 생명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웨스트 버그에 따르면, 이러한 것들 중 많은 것들이 인체에 무해하지만, 여러분이나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수 ..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