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잡다한것

간단한 주식 용어들

주당순이익(EPS)

주당순이익이란 당기 순이익을 가중평균주식스로 나눈 수치입니다. 그러므로 당기순이익이 아무리 많은 회사라도 발행주식수가 많으면 그만큼 EPS는 낮아집니다. 주식가격은 원칙적으로 이 주당 순이익에 의해 결정됩니다. 즉 회사가 이익을 많이 낼수록 주가는 올라가는 것이 당연한 일입니다. 반대로 이익이 즐어들거나 적자로 전환되면 주가는 떨어집니다. 바이오 관련주들이 급등했던것도 향후에 기업의 이익이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된 것입니다. 그러나 이때도 실제 기대대로 이익이 증가하지 않으면 주가는 급락하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EPS는 주식투자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투자지표의 하나입니다.

 

.주가 수익 비율
주가수익비율(PER)은 해당 기업의 현재 주가를 연간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으로 비율이 낮은 경우 주가가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것으로 평가합니다. 즉 단순히 EPS만 보는 것이 아니라 주가와 비교하여 그 회사의 투자가치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성장성이 높고 재료가치가 큰 회사일수록 PER가 높고 수익성이 있지만 성장성이 작은 업종의 회사는 PER가 낮은 것이 보통이므로 서로 다른 회사의 PER의 단순비교보다는 그 업종의 성장성과 그 회사의 재료가치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그동안 EPSPER는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주는 투자지표로 가장많이 쓰였습니다. 그러나 PER는 기업의 경영실적을 정확하게 반영하지는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감가상각 방법을 자의적으로 바꾸거나 자산매각 등에 따른 특별이익이 발생할 때는 경영상으로는 적자기업이 흑자기업으로 바뀌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요즘에는 투자지표인 ROICFV/EBITA는 순이익이 아닌 영업이익을 사용합니다.

 

.경제적 부가가치(EVA)

EVA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실질적인 이익을 얼마나 냈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당기 순이익이 타인 자본에 대한 비용만 반영한 것이라면 EVA는 자기자본 비용까지 따져 재무성과를 측정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 수치가 높다는 것은 효율적인 경영활동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EVA가 적자라는 것은 세후 영업이익이 자본조달 비용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의미이며 EVA의 적자폭이 커진다는 것은 상장기업의 자본효율이 크게 악화되었다는 의미입니다. 미국 경영건설팅회사인 스턴&스튜어드사가 개발해 1990년대 초 (포츈)지에 게재하면서 세계적으로 확산된 경영분석 모델입니다.

 

.투하자본 이익률

ROIC란 얼마르 투자해서 얼마를 버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때 이익은 순이익이 아닌 영업이익을 사용합니다. 이는 순이익이 자산매각 등에 따른 특별이익과 회계방법 변화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입니다. ROIC는 높을수록 좋은 것으로 평가되며 통상 10%가 넘으면 유망하다고 봅니다. 종목선정시에는 우선 ROIC는 높은 종목을 선정한 후 EV/EBITDA가 낮은 종목을 선별하는 방법이 좋습니다. 그리고 ROIC가 높다고 하더라도 부채비율이 높아 지급이자 부담이 높은 종목은 피해야 합니다.

 

.EV/EVITDA는 기업가치(시가총액+부채)를 세금,이자지급,감가상각비를 제하기 전 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EV/EBITDA는 값이 낮을수록 저평가된 것으로 해석하며, 시장평균보다 높으면 고평가된 것으로 보고 구조조정으로 기업들이 부채상환하면서 유용한 지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세상잡다한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환사채에 투자해볼까??  (0) 2020.03.27
내가 배당투자를 해본다면......  (0) 2020.03.27
성공한 트레이더의 열가지 원칙  (0) 2020.03.27
이동 평균선의 개념과 특징  (0) 2020.03.27
지지와 저항선  (0) 2020.03.27